본문 바로가기
티비보기

알짜왕 셰어하우스의 공존 비결

by 로토루아8 2018. 2. 25.
반응형

사진에서 느껴지는 여유로움에 막연히 꿈꿧던 곳이라고함

각자 원하는 집의 모습이 다른데  어떤 집이 아니라 집 자체가 꿈이 되어버린 요즘

2030 청년에게도 집 문제는 큰 고민거리임

마음 편히 쉴수 있는 집 마련이 지상 최대의 난제임

여럿이 모여 색다른 시너지를 내는 집이 있어요!!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  편히 쉴수 있는 집이 아주 중요함

1인가구가 늘면서 생기는 문제인데

집을 떠나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많은 상황임 대화할 상대가 없는 자취 생활

외로움은 그만. 혼자지만 혼자가 아닌 사람들이 있다?!

혼자 지내는 삶의 가장 큰 적은 외로움임

행복한 자취 라이프의 정석을 보여줄 오늘의 주인공

취직하면서부터 거주지를 회사 근처로 옮기고 싫엇다고

3~4년 전부터 혼자 살았는데 룸메이트 친구와 같이 방을 쓰고 있다고함

혼자 살면서 느낀 외로움을 피하고 싶어 룸메이트가 잇는 이곳을 선택함

밥을 잘 챙겨먹기 어려운 자취 생활

같은 생활 공간을 공유하며 구성원이 함께 지내는 셰어하우스임

방이 총 4개인데 1층에 방 2개와 화장실 있고 2층에도 방이 두개있음

따로 또 같이 오순도순 지내는 셰어하우스 식구들

셰어하우스에서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주인공

설거지 당번은 따로 없고 그때그때 시간있고 내키는 사람이 집안일을 하는 시스템임

이것도 맘이 잘 맞아야지 얍삽한 사람이 있으면 이런것도 흐지부지되고 한사람만 하게됨.

여러 청춘이 모여 사는 공간에 당번조차 없는 셰어하우스

혼밥이 존재하지 않는 셰어하우스의 저녁 시간

시간이 맞는 구성원끼리 꼭 함께 밥을 먹는데 같이 식사 준비를 하면서 친밀도가 쑥쑥 올라간다고.

일주일에 한번!! 반드시 참석해야 하는 밥상 모임

함께 저녁을 먹으며 대화를 나누는 자리라고하네요.

이것이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는 비결임!!

유용한 생활 정보와 재미있는 일상 소식이 가득함

필요없는 물건을 나누는 벼룩시장까지!! 

지금 사는 사람뿐만 아니라 검암동에 거주하는 사람과 지인들까지 더해져서  많아지게 됐다고해용.

우리동네 사람들 셰어하우스는 총 5채로

집 한채에서 시작해 하나의 지역 공동체로 진화하고 있는 우리 동네 사람들

같이 사는 것만으로는 공동체라고 할수 없을거 같다고 같은 공간을 쓰는 것뿐만 아니라 정도 나누고 밥도 먹으며 쌓아가는 관계임

혼자가 익숙한 도시 생활

같이 사는 것만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연대가 느껴진 셰어하우스 그야말로 공동체의 정석임. 수많은 공동체중 예전엔 흔했지만 이제는 보기 어려운 공동체가 있음

예전에 이사를 가면 가장 먼저 했던 일은? 떡 돌리기

그렇게 마을 공동체에 신고식을 치르면 콩 한쪽도 나눠 먹는 정다운 이웃사촌으로되기도 하는데 지금은 옆집 사람 얼굴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임

이사가 잦은 1인 가구는 이웃과 교류할 틈이 나지 않는 현대인의 삶

인싸는 관계의 중심에 있는 사람

아싸(outsider) 인간관계에서 중심에 있지 못하고 겉도는 사람

처음생겻을땐 무리에 끼지 못하는 아웃사이더를 조롱하는 의미로 많이 사용함

최근에는 스스로 인간관계를 차단하는 자발적 아싸가 많아짐!

팍팍한 취업 시장에서 고생하년 청년들 취업 준비만으로도 할일이 태산인데

방해받지 않기 위해 스스로 인간관계를 포기하는 상황입니다.

반면 SNS로 타인에 대한 관심을 표출하고 온라인 소통에 익숙한 젊은 세대

관심은 많지만 관계는 거부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임

이 시대에 맞는 공동체로 진화하는 공동주택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른 셰어하우스 문제점은 없을까? 관련법이 정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숫자만 늘고 있는 셰어하우스!!

한방에 2명이 살고 있떤 하숙집을 2층 침대를 놓고 4명을 받는 경우도 있다고함

기존 집 공간을 쪼개 억지로 세입자의 수를 늘리는 편법이 성행함

적절한 규제가 필요한 상황이에요.

유럽, 북미등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공동주택으로 1인 가구의 주거난을 해소하고 노인, 아이의 부양 부담도 감소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상황으로 복지국가인 스웨덴은 전체 인구의 약 20%가 공동주택거주중이라고해요.

끈끈한 공동체로 공동주택의 장접이 높아요

줄어드는 가족 1인 가구의 증가로 공동주택의 가치는 수직상승중임!!



<출처: jtbc 알짜왕>

반응형

댓글